소지 |
1894년 12월 16일 서면(西面)에 사는 82세 이용한(李龍漢)이 자신의 망모(亡母)를 정인국(鄭仁國)의 친산에서 즉시 파가라는 문서 |
19세기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갑진년 11월 오지면(梧枝面) 대리(大里)에 사는 김훈(金壎)이 성주(城主)에게 올리는 소지 |
갑진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정사년 11월에 향중(鄕中) 유생(儒生) 정대찬(鄭大燦)이 성주에게 올린 소지 |
정사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기유년 윤 4월에 삼기면(三岐面) 어덕촌(於德村)의 선비들이 관아에 올린 소지 |
기유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기유년 8월 곡성현(谷城縣) 삼기면(三岐面)에 사는 김수원(金壽元)의 동생 김수복(金壽福)이 관찰사에게 올린 소지 |
기유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정미년 2월 삼기면(三岐面) 어덕촌(於德村) 주민들이 관사주(官司主)에게 올린 소지 |
정미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갑진년 11월 오지면(梧枝面) 대리(大里)에 사는 김훈(金壎)이 성주에게 보내는 소지 |
갑진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기해년 1월 외서면(外西面) 유사(有司) 신용관(申用權)이 관아에 올린 소지 |
기해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무술년 10월 오지면(梧枝面) 대리(大里)에 사는 김영도(金永燾)가 성주(城主)에게 보내는 소지 |
무술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갑진년 11월에 곡성군 오지면(梧枝面) 대리(大里)에 사는 김훈(金壎)이 관찰사에게 보내는 소지 |
갑진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정사년 3월 공수방면(公須坊面) 교촌동(校村洞)에 사는 주민들이 관찰사에게 보내는 소지 |
정사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기유년 8월에 삼기면(三岐面) 어덕촌(於德村)에 사는 김수복(金壽福)이 관사주(官司主)에게 올리는 소지 |
기유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정미년 7월에 삼기면(三岐面) 하도향약(下道鄕約) 집강(執綱)이 성주(城主)에게 올리는 소지 |
정미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경술년 9월 광주(光州) 유학(幼學) 정대찬(鄭大燦) 등이 연명하여 관찰사에게 올리는 소지 |
경술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
소지 |
을미년 8월 오지면(梧枝面) 대리(大里) 김청송(金靑松) 댁 노비 부철(夫哲)이 관아에 올린 소지 |
을미년 |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
해제 |
원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