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종류 | 문서명 | 시대 | 소장처 | 기본정보 | 해제 | 원문 | 이미지 |
---|---|---|---|---|---|---|---|
기타 |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복재전필가(復齋傳筆歌)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1736년 유숙기(兪肅基)가 쓴 어화묵죽(御畵墨竹) 발문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인종대왕묵죽도(仁宗大宗墨竹圖)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모년에 김인후의 영전에 내려진 치제문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1855년 철종이 김인후의 영전에 내린 치제문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1828년 10월에 효명세자가 김인후의 영전에 내린 치제문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1796년 11월에 정조가 김인후의 영전에 내린 유제문(諭祭文)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1789년 4월에 정조가 김인후의 영전에 내린 치제문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기타 | 1789년 2월에 김직휴(金直休)가 쓴 제문발(祭文跋) | 국립광주박물관 | 해제 | 원문 |
![]() |
||
제망매문 | 1746년 5월에 기태동(奇泰東)이 누이를 위해 지은 제망매문 | 국립광주박물관 | 기본정보 | 해제 | 원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