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소개
커뮤니티
처음으로
문집
문집
한문문집 소개
한문문집 검색
지방지
지방지 소개
주제별 검색
지도 검색
문중문헌
문중문헌 소개
문중문헌
문중별 소개
고서화
호남고서화 소개
호남서화가
작품검색
목판
목판자료소개
호남권누정총목록
목판기록자료
금석문
금석문 소개
금석문기록자료
고문서
일반고문서
한글편지
한문편지
관련사이트
일기자료
일기자료 소개
일기자료
지방지
문중문헌
고서화
목판
금석문
고문서
일기자료
호남 인물검색
호남인물검색시스템
호남인물검색 시스템 소개
한글인물검색 시스템
통합
이름
호
자
이미지
본문내용
이미지
[김몽룡(金夢龍)]
삼봉(三奉) /
김몽룡(金夢龍) 호는 삼봉(三奉). 본관은 김녕. 사복사판관(司僕寺判官), 군기사첨정(軍器寺僉正)을 역임했다. 임진왜란 때 충무공 막하에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에 기록되었으며, 해미현감(海美縣監)을 제수받았다. [참고문헌] 고흥군지
이미지
[김성(金城)]
/
김성(金城) 임진왜란 애국열사. 본관은 순천(順天). 무과에 올라 삼섭영절(三涉營節) 제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 때 충주달천 전에서 전사하였다. [참고문헌] 해남군사
이미지
[옥천금(沃川金)]
/
?~1597. 노비출신 의병으로 단종사화 때 김영년(당시14세)과 함께 전북 변산으로 탈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영년을 도와 함께 싸웠고, 1597년 정유재란 때 김영년을 따라 의병진에 참전하였다가 의병장 김영년, 아들 김헌과 힘께 순절하였다. 선무원종공신 3등에 책봉되었으며 전북 부안 호벌치 고개에 있는 민충사에 배향되어 있다. [참고문헌] 전라북도지, 부안군지, 옥천군지,호남절의록(광주향교장본), ...
이미지
[김헌(金憲)]
은암(隱巖) / 헌옥(憲玉)
1570년(선조3)~1579년(선조30). 김헌은 임진왜란 때 창의한 선비로 자는 헌옥(憲玉), 호는 은암(隱巖),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조부는 김명지(金明之)이며 의병장 겁암(怯庵)김영년의 장자(長子)이다. 임진왜란 때에 아버지와 함께 창의하였고, 부안 호벌치 싸움에서 아버지가 왜적에 의해 죽자 이를 보고 더욱 분발해 왜적을 추격하여 죽이고, 그 간을 꺼내 씹어서 복수하였다고 전한다. 이때 노복도 따라 죽으니 ...
이미지
[이광원(李光源)]
송암(松菴) / 윤명(允明)
1774-? 선행. 자는 윤명(允明). 호는 송암(松菴). 본관은 평창(平昌). 성품과 행실이 탁월하며 효우가 겸지하고 목연구독(睦淵俱篤)하였다. [참고문헌] 해남군사
이미지
[이광수(李光秀)]
/
1761(영조 37)-1837(헌종 3) 조선조 무신. 본관은 성주. 지금의 제주도 조천읍 북촌리의 이정무(李廷茂)의 둘째 아들로 출생. 1784년(정조 8)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을 지냈다. 1796년(정조 20) 4월에서 1798년 10월까지 제주도 명월만호를 지냈다. [참고문헌] 급제선생안, 명월진선생안, 제주사인명사전, 증보탐라지
이미지
[이광신(李光新)]
/
본관은 원주(原州). 임진왜란 때 무과에 올라 훈련주부(訓練主簿)와 동래방어사(東萊防禦使)를 지내다가 순직하였다.[참고문헌]해남군사
이미지
[이광백(李光白)]
/
1688(숙종 14)-? 조선후기의 한학자. 본관은 공산(公山). 절충장군 행 아이진병마첨절제사(折衝將軍行阿耳鎭兵馬僉節制使) 익명(益明)의 아들. 완주군 당시의 고산현(高山縣)출신. 1741년(영조 17) 식년 사마시(式年司馬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참고문헌] 사마방목, 완주군사, 전라문화의 맥과 전북인물
1
2
3
4
5
6
7
8
9
10